-
메인 : 구인구직
-
많은 기업들이 구인하는 만큼 똥도 좆나 많이 올라온다. 워낙 내용이 많아 UI가 난잡해 보인다.
-
메인 : 구인구직
-
사람인보단 구인이 덜 하지만 똥이 의외로 적다. UI이가 깔끔하다. 개인적으로 선호한다.
-
메인 : 기업 리뷰, 연봉 리뷰, 면접 리뷰 / 서브 : 구인구직.
-
리뷰를 보려면 해당 리뷰에 글을 올리거나 결제해야 한다.
-
면접은 거의 90% 정확하며 연봉은 정확하지 않아 안 봐도 된다. 기업 리뷰는 회사에서 리뷰 조작을 하거나 사회 부적응자들이 안 좋게 쓰는 경우도 있기에 잘 걸러야 한다.
-
기업리뷰 보는 법 1 : 현직자 4~5/5, 전직자 1~3/5, 이 경우 전직자들이 사회 부적응자일 수도 있지만 단점이 동일한 경우 거의 100%이다. 전직자 단점이 동일한데 현직자들은 왜 평점과 리뷰를 좋게 주냐?! 이게 바로 조작이다.
-
기업리뷰 보는 법2 : IT 기준, "파견(보도방), 밖에서 일한다" 등의 글이 있으면 100%로 파견(보도방) 회사거나 심하면 보도방이다. 만약 구린내가 나는데 리뷰가 깨끗하면 면접 리뷰를 보면 된다.
-
기업리뷰 보는 법 3 : 4~5/5=ㅆㅅㅌㅊ or ㅎㅌㅊ, 하지만 적은 리뷰수에 높을 수도 있기에 일단 봐야 한다. 3/5=평균, 사람이 다닐만한 회사이다. 1~2/5=ㅆㅎㅌㅊ, ㅎㅌㅊ or ㅅㅌㅊ, 애초에 인간이 다닐 수 있는 회사가 아니라는 의미다. 하지만 사회 부적응자들이 안 좋게 남겨서 낮은 것일 수도 있다. 예로 평점 1점대인 기업으로 취직한 사람이 있었는데 오히려 리뷰와 정반대로 칼퇴, 월급 안 밀림, 폭언, 욕설, 가혹행위가 없었다고 했다.
-
메인 : 연봉정보, 기업정보(재직자, 업력, 입사율, 퇴사율) / 서브 : 구인구직.
-
다른 구직사이트들보다 연봉정보가 정확하다. 평균 연봉을 정확히 보는 법은 우측 상단 연봉 출처=고용보험 > 국민연금으로 바꾸면 된다.
-
기업정보를 BLOCK 했을 경우는 두 가지이다. ㅆㅎㅌㅊ던가 기존 재직자들이 연봉 정보를 보고 퇴사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여 BLOCK 처리한 경우다. 그래서 잡플래닛, IT노조에서 보고 판단하는 것이 좋다. 그런데 보통 전자의 경우가 많다.
-
잡플래닛과 다르게 정말 유명한 기업 아니고서야 리뷰가 아예 없거나 거의 없다. 그런데 공통된 내용으로 안 좋은 리뷰가 여러 개 있다?! 이건 정말 걸러야 할 회사이다.
-
메인 : 구인구직
-
주로 업력이 된 스타트업들이 구인을 많이 하는 곳이다. 다만 구인 스팩을 일당백으로 올린다.
-
메인 : 구인구직
-
주로 업력이 된 스타트업들이 구인을 많이 하는 곳이다. 다만 구인 스팩을 일당백으로 올린다.
-
메인 : 구인구직
-
생긴지 얼마 안된 스타트업들이 구인을 많이 하는 곳이다. 다만 구인 스팩을 일당백으로 올린다.
-
개인적으로 살펴본 결과 대학교 연구소들이 기업 흉내를 내어 구인하는 것도 올라오니 잘 거르면 될 것 같다.
-
메인 : 구인구직 / 서브 : SNS
-
구인구직 혹은 개발자들의 정보를 보는 곳이다.
-
구인은 프리랜서부터 스타트업, 중견기업 다양하다.
-
메인 : 파견(보도방)회사 감별사, 커뮤니티 / 서브 : 구인구직
-
주로 파견(보도방)회사를 파악하기 위해 이용하는 곳이다.
-
메인 : 연봉 정보
-
기준년월 월평균연봉, 입사자, 퇴사자, 총인원을 알려주는 곳이다.
-
메인 : 강소기업 정보
-
정말 인증된 강소기업들만 나온다.
-
메인 : 강소기업 정보
-
재무적으로 강소기업들만 나온다. 사실 재무적으로도 강소인지는 모르겠다. 잡플래닛, 크레딧잡에 검색하면 평이 엇갈리는게 많다.
'IT ETC > IT 관련 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면설계 & 프로토 타이핑 툴 사이트 (0) | 2020.11.30 |
---|---|
개발 외 지원 사이트 (0) | 2020.11.30 |
개발 공부 및 알고리즘 문제 사이트 (0) | 2020.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