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검색 입력란에 아래 그림과 같이 draw.io 입력 후 검색하여 웹 브라우저 스크롤을 조금만 내리면 아래 그림과 같이 검색결과가 나오며 Diagram Software and FlowchartMaker 홈페이지를 클릭하여 접속하거나, URL 입력란에 https://www.diagrams.net 를 입력하여 접속한다.
2)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오며 화면에 보이는 Start 버튼을 클릭하면 웹 브라우저용 UML 페이지가 열리며 Download 버튼을 클릭하면 오프라인용 UML을 다운받을 수 있는 페이지가 열린다.
2-1) Download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오며 본인 컴퓨터 시스템OS에 맞게 다운로드 하면 된다.
2-2) Start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온다. 첫 화면으로 어떤 클라우드를 기준으로 저장할 것인지 결정하는 메뉴가 나오며 저장 기준을 원치 않을 경우 메뉴 아래 Decide later(나중에 설정)을 클릭하면 된다.
3) 클라우드를 지정해서 시작하든 Decide later(나중에 설정)을 클릭하여 시작하든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화면에서 보다시피 좌측 메뉴바는 도형들의 종류를 나열한 것이며 우측 메뉴바는 해당 도형의 스타일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4) 영어에 익숙한 사람은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영어를 못하는 사람은 쓰기 불편하니 아래 그림에 나와있는 우측 상단에 지구 모양을 클릭, 지원되는 언어들이 나오며 사용할 언어를 선택 후 draw.io를 사용하면 된다.
5) draw 후 저장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이 본인이 지정한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방법과 다른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
6) draw 작업 내용을 불러오는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이 가져오기 위치 메뉴에서 원하는 하단 메뉴를 선택하여 가져오면 된다.
참고로 이미지 파일로 저장된 내용을 가져올 때 draw.io 작업 사양과 일치한 이미지면 하나의 이미지 형태가 아닌 각각의 객체로 나누어져 가져와진다.
'IT ETC > 잡학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IT업계서 45년 일한 어느 개발자의 여섯가지 조언 (0) | 2021.01.10 |
---|---|
IT 보도방 및 악덕업체 목록 (0) | 2021.01.05 |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10가지 흔한 실수 (0) | 2020.12.01 |
Color Scripter 사용방법 (0) | 2020.11.30 |
개발자라면 반드시 알아야하는 기본기 (0) | 2020.11.30 |